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순수의 시인 - 김종삼
2016년 01월 05일 05시 20분  조회:4484  추천:0  작성자: 죽림


순수의 시인 김종삼

 

 

 



이재훈(시인)

 

 

 

 






우리 한국시에서 “가장 순도 높은 순수시”를 썼다고 평가받는 김종삼 시인(1921~1984). 언제나 말없이 점퍼 차림에 벙거지를 쓰고 술집에 홀로 앉아 술을 즐겼다는 김종삼. 그는 평생 직장다운 직장 한 번 가져본 적 없이 오로지 詩만 바라보며 가난하게 살았다. 김종삼은 사람들과 만나는 것을 꺼려했다. 도깨비, 괴짜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대신 평생 음악과 술을 친구 삼아 고독의 시간을 즐겼다.

김종삼의 술과 음악에 대한 취향은 독특했다고 전해진다. 좀 과장되어 말한다면 그것은 마치 선인들의 수행과정과도 닮았다. 술은 독작(獨酌)이 원칙이었으며, 술을 마실 때에는 안주나 곡기를 전혀 먹지 않았다. 또한 한번 마셨다 하면 오로지 술만 열흘이고 보름이고 마시다 깨다를 반복했다. 술값이 생기면 소주를 사들고 홀로 어디 구석진 공간을 찾아 다녔다는 김종삼 시인.

그의 음악에 대한 사랑 또한 남다르다. 김종삼이 직장이라고 할 만한 일 가운데 가장 오랫동안 일한 곳이 바로 동아방송의 음악효과를 담당하는 일이었다. 아마 음악 효과의 일을 오랫동안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음악을 마음껏 들을 수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김종삼은 한번 음악을 들었다 하면 한 곡을 하루 종일 또한 한두 달을 계속해서 들었다. 일종의 편집증 증세처럼 하나의 곡, 혹은 한 음악가를 만나면 고집스럽게 들었다. 김종삼의 증언에 따르면 10대 후반에는 베토벤을 좋아했고, 그 후에 바하와 모차르트를 좋아했으며 세자르 프랑크, 라벨, 드뷔시 같은 음악가를 좋아했다. 그 때문인지 김종삼의 시에는 음악을 소재로 하거나 음악을 들으며 집필했던 것이 분명한 시편들이 상당수 있다. 특히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음악가인 프랑크의 음악에 대한 애정을 여러 편의 시를 통해 형상화하기도 했다.

김종삼은 1921년 황해도 은율에서 태어났다. 그가 부모와 형제들과 함께 남한에 내려온 것은 해방 이후 1947년이었다. 형제들 중에는 친형인 김종문 시인도 있었다. 가장 가까운 친구였던 전봉래의 자살을 겪은 것은 한국전쟁 피란 때였다. 전봉래는 부산 남포동의 스타다방에서 바하를 들으면서 세코날을 복용하고 자살했다. 이후 김종삼은 서울의 가난한 단칸방에서 평생을 가난과 고독과 함께 살았다.

김종삼에게 술과 음악은 신산한 현실을 지탱할 수 있는 힘과 같은 것이었다. 또한 그의 시에는 종교적 맥락을 환기하는 다수의 시편들이 있다. 그에게 종교는 특정한 교리를 전파하는 역할이 아니라 인간의 근원을 말하고 싶은 순수의 욕망에서 발원한다. 알 수 없는 원죄의식과 인간으로서 그것을 극복하려는 의지가 동시에 내포되어 있다.

 

희미한

풍금 소리가

툭 툭 끊어지고

있었다

 

그동안 무엇을 하였느냐는 물음에 대해

 

다름아닌 인간을 찾아다니며 물 몇 통 길어다 준 일밖에 없다고

 

머나먼 광야의 한복판 얕은

하늘 밑으로

영롱한 날빛으로

하여금 따우에선

- 시 <물통> 전문

 

김종삼의 대표작 중에서 「물통」은 미학적 언어의 특성을 보여줌과 동시에 김종삼의 의식세계를 잘 알 수 있는 시이다. 중요한 구절은 “그동안 무엇을 하였느냐”고 묻고 있는 절대자와 대답을 하는 시적 화자와의 말이다. 시에서 화자는 말하고 있다. “인간을 찾아다니며 물 몇 통 길어다 준 일밖에 없다”고. 화자의 답변은 자신의 일생을 요약할 수 있는 성찰과 회한의 말이다. “~밖에 없다”는 말의 이면에는 내 삶이 참으로 보잘 것 없음을 강조하여 말하고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이 말의 의미를 뒤집어 생각하면 “물”이라는 존재의 근원을 따질 때 정작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은연중 전하고 있다. 물은 우리 인간에게 없어서는 안 될 꼭 필요한 물질이다. 물을 먹지 않고는 며칠을 버티지 못한다. 그런 의미에서 스스로 인간을 찾아다니며 물 몇 통을 길어다 주었다는 것은 생명의 원천을 제공해주었다는 말과도 상통한다. 김종삼이 사람들에게 전해줄 수 있는 생명의 원천은 바로 ‘詩’일 것이다. 시를 통해 근원과 본질을 말하고 싶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스스로를 낮추어 말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근원과 본질의 힘이 중요하다는 점을 상기시키고 있다. 이는 마지막 연에서 광야의 풍경이 영롱한 날빛으로 가득해지는 땅으로 변화되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첫 연에서 음악적 효과를 주었으며, 마지막 연을 통해 정작 시인이 말하고자 하는 “물 몇 통 길어다 준 일”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강조적으로 말하고 있다.

김종삼의 여러 대표작 중에 위의 시를 택한 이유는 우리 삶의 본질을 다시 바라보고 싶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그는 생전에 문학적 영광의 자리에 단 한 번도 오른 적 없이 고독하게 살다간 시인이다. 그러나 그의 사후 많은 후배 문인들과 후학들은 그의 절창들을 다시 노래하고 되새겼다. 김종삼의 노래는 순수를 탐하는 가장 미학적인 언어의 결정체였으며, 그의 삶은 예술가의 전형을 보여주는 몇 안 되는 사례였다. 자연을 노래하지 않고, 스스로 난해한 길을 걸어갔지만 50년대 그 누구보다도 독특한 시의 숲길을 만든 김종삼. 그의 시와 삶에 축배를 들며 가슴을 쓸어내린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283 [문단소식]- 중국조선족 두분 문인 駿馬를 타고 질풍하고... 2024-09-09 0 1494
2282 중국조선족시인 백진숙 篇 2024-09-09 0 1517
2281 중국조선족시인 리해룡 篇 2024-09-09 0 1472
2280 중국조선족시인 박성군 篇 2024-08-31 0 1305
2279 중국조선족시인 리선호 篇 2024-08-31 0 1390
2278 중국조선족시인 리수길 篇 2024-08-31 0 1428
2277 중국조선족시인 리선근 篇 2024-08-31 0 1254
2276 중국조선족시인 석화 篇 2024-08-31 0 1266
2275 중국조선족시인 김학송 篇 2024-08-31 0 1409
2274 중국조선족시인 김화숙 篇 2024-08-31 0 1516
2273 중국조선족시인 박춘월 篇 2024-08-31 0 1447
2272 중국조선족시인 최강 篇 2024-08-31 0 1356
2271 중국조선족시인 김승광 篇 2024-08-31 0 1447
2270 중국조선족시인 김국철 篇 2024-08-31 0 1495
2269 중국조선족시인 박정근 篇 2024-08-31 0 1499
2268 중국조선족시인 최화길 篇 2024-08-31 0 1430
2267 중국조선족시인 오정묵 篇 2024-08-31 0 1245
2266 중국조선족시인 심정호 篇 2024-08-31 0 1298
2265 중국조선족시인 신현철 篇 2024-08-31 0 1380
2264 중국조선족시인 리기춘 篇 2024-08-31 0 1246
2263 중국조선족시인 김동활 篇 2024-08-31 0 1312
2262 중국조선족시인 김상봉 篇 2024-08-31 0 1278
2261 중국조선족시인 허도남 篇 2024-08-31 0 1461
2260 중국조선족시인 리행복 篇 2024-08-31 0 1260
2259 중국조선족시인 전광국 篇 2024-08-31 0 1406
2258 중국조선족시인 신철호 篇 2024-08-31 0 1483
2257 중국조선족시인 리홍철 篇 2024-08-31 0 1344
2256 중국조선족시인 남철심 篇 2024-08-31 0 1462
2255 중국조선족시인 황정인 篇 2024-08-31 0 1283
2254 중국조선족시인 려순희 篇 2024-08-31 0 1251
2253 중국조선족시인 지영호 篇 2024-08-31 0 1223
2252 중국조선족시인 홍순범 篇 2024-08-31 0 1365
2251 중국조선족시인 박문봉 篇 2024-08-31 0 1333
2250 중국조선족시인 변창렬 篇 2024-08-31 0 1323
2249 중국조선족시인 신현산 篇 2024-08-31 0 1337
2248 중국조선족시인 박동춘 篇 2024-08-30 0 1286
2247 중국조선족시인 허동혁 篇 2024-08-30 0 1345
2246 중국조선족시인 신창수 篇 2024-08-30 0 1302
2245 중국조선족시인 남영전 篇 2024-08-29 0 1278
2244 중국조선족시인 김학천 篇 2024-08-29 0 1212
‹처음  이전 1 2 3 4 5 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